농업의 미래는 스마트농업 혁신밸리에서! 첨단 기술로 생산성을 높이고, 청년 농업인 육성 및 관련 기업을 지원하는 복합 공간입니다.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혁신 거점에서 함께하세요!
1. 스마트농업 혁신밸리란?
스마트팜에 특화된 청년농 육성, 스마트팜 기자재 연구·실증 기능을 집약해 농업인-기업-연구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거점입니다.
목적
- 농업·농촌에 청년 유입: 전문 보육체계, 창업 및 주거공간 구축 → 청년의 안정적 창업·정착
- 농업과 전후방산업 동반성장: 기업-연구기관-농업인 간 공동 R&D → 기술혁신, 신제품 개발
구성 요소
- 보육센터: 청년농 창업 지원
-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: 안정적 정착 지원
- 스마트팜 실증단지: 기술 검증 및 실증
- 연계 사업군: 정주여건 등 패키지 지원
2. 현재 운영 중인 혁신밸리 (4개소)
1차 지역
-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
- 경북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
2차 지역
- 전남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
- 경남 밀양 스마트팜 혁신밸리
3. 신청 가능한 관련 사업들
3.1 스마트팜 실증단지 사업 (2024년 기준)
사업 목적
- ICT 기자재, 신품목, 온실용 스마트기계 등의 실증·검증
- 빅데이터 분석·활용, 전시·체험·스타트업 지원
지원 자격
- 스마트팜 혁신밸리 선정 지자체 (4개소)
- 실증단지에 실증하는 기업
지원 내용
- 스마트팜 기자재·생육 실증을 위한 전문실증서비스 비용
- 혁신밸리의 데이터 서비스 제공 비용
- 기업의 실증 소요 비용
3.2 스마트팜 다부처패키지 혁신기술개발사업
신청 자격
- 연구기관, 대학
- 영농조합법인, 농업회사법인
- 연구인력 보유 기관 및 단체
- 연구소 등
지원 내용
- 스마트팜 현장 실증·고도화 연구개발비
- 차세대 스마트팜 융합·원천기술 연구개발비
3.3 데이터 기반 스마트농업 확산지원 사업
접수 방법
- 이메일: hsbjin92@koat.or.kr / lgh0705@koat.or.kr
- 방문 접수
- 문서24 접수👆
접수처
-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스마트농업진흥팀
3.4 스마트팜 시설보급 지원사업
지원 대상
- 채소·화훼·특용작물 재배 농업경영체
지원 조건
- 일반 지원: 국고 30%, 지방비 30%, 자부담 40%
- 온실 신축: 국고 20%, 지방비 30%, 융자 30%, 자부담 20%
4. 신청 절차 및 준비사항
4.1 사전 준비
1. 자격 요건 확인- 각 사업별 신청 자격 검토
- 필요 서류 및 조건 확인
2. 사업 계획서 작성
- 사업 목적 및 필요성
- 기술 개발 계획
- 실증 계획 및 기대 효과
- 예산 계획
3. 자부담 준비
- 사업별 자부담 비율 확인
- 자금 조달 계획 수립
4.2 신청 서류
- 사업신청서
- 사업계획서
- 기술개발계획서
- 예산계획서
- 기관 현황 및 역량 증빙 자료
- 기타 사업별 요구 서류
4.3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각 주관기관 홈페이지 또는 전자접수시스템
- 방문 신청: 해당 기관 직접 방문
- 우편 신청: 등기우편 발송
5. 선정 기준 및 평가
5.1 평가 기준
- 기술성: 기술의 혁신성, 우수성, 실현 가능성
- 사업성: 시장성, 경제성, 사업화 가능성
- 정책성: 정책 부합성, 파급 효과
- 추진 역량: 연구 역량, 추진 체계
5.2 평가 절차
- 서류 심사
- 발표 평가 (필요시)
- 현장 실사 (필요시)
- 최종 선정
6. 주요 연락처
농림축산식품부
- 스마트농업 정책 관련 문의
- 웹사이트: https://www.mafra.go.kr👆
한국농업기술진흥원
- 스마트농업진흥팀👆
- 이메일: hsbjin92@koat.or.kr, lgh0705@koat.or.kr
각 지역 혁신밸리
전남 고흥 스마트팜 혁신밸리
- 웹사이트: https://www.ghsf.or.kr👆
기타 지역
- 각 지역 농업기술센터 문의
7. 신청 시 주의사항
1. 신청 마감일 엄수- 각 사업별 신청 기간이 다름
- 마감일 이후 접수 불가
2. 서류 완비
- 필수 서류 누락 시 심사 제외
- 서류 작성 가이드라인 준수
3. 자격 요건 재확인
- 신청 전 자격 요건 재검토
- 필요시 사전 문의
4. 예산 계획의 현실성
- 적정한 예산 계획 수립
- 자부담 능력 입증
5. 사후 관리 의무
Tags:
government subsidies